주식 초보 투자 기본적분석 기업 분석 핵심 정리
주식 투자를 시작할 때 기업 분석은 필수 과정이에요. 마치 여행 전 지도를 보는 것처럼, 핵심 용어만 알면 훨씬 쉬워져요.
주식 초보가 꼭 알아야 할 7가지 용어를 통해 성공적인 투자를 돕겠습니다.

기업 수익 구조 이해
기업 수익 구조를 아는 것은 투자의 첫걸음입니다. 기업이 어떻게 돈을 벌고 사용하는지 알아야 투자 결정을 제대로 할 수 있어요.
매출액: 기업의 총 수입
매출액은 상품이나 서비스를 팔아 얻는 총 수입을 말해요. 기업의 ‘장사‘로 번 전체 금액이죠. 매출액을 통해 기업 규모와 사업 활발함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.
매출액이 높을수록 기업의 규모가 크고 사업이 활발하다고 볼 수 있어요.
영업이익: 본업 경쟁력 지표
영업이익은 매출액에서 재료비, 인건비, 임대료 등 영업 활동에 필요한 모든 비용을 뺀 금액입니다. 기업의 ‘본업‘ 경쟁력을 보여주는 핵심 지표죠.
영업이익이 높을수록 본업으로 돈을 잘 버는, 즉 경쟁력이 뛰어나다는 의미입니다.
순이익: 주주에게 돌아갈 이익
순이익은 영업이익에서 세금, 이자 비용 등 모든 비용을 제외한 최종 이익입니다. 기업이 실제로 손에 쥐는 돈으로, 주주에게 돌아갈 수 있는 이익을 나타내는 가장 중요한 지표입니다. 순이익이 높을수록 주주에게 더 많은 배당을 지급할 가능성이 커집니다.
주식 투자 기본 지표
주식 투자를 위한 기본 지표는 기업의 현재와 미래를 보여주는 지도와 같아요. 이 지표들을 통해 기업을 분석하고 투자 결정을 내릴 수 있습니다.
PER: 주식 가격의 적정성
PER(주가수익비율)은 주가를 주당순이익(EPS)으로 나눈 값입니다. “이 기업 주식이 이익에 비해 얼마나 비싼가?”를 보여주죠.
PER이 낮으면 저평가, 높으면 고평가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. PER은 낮을수록 투자 매력도가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.
PBR: 순자산 가치 대비 주가
PBR(주가순자산비율)은 주가를 주당순자산가치(BPS)로 나눈 값입니다. “이 기업 주식이 순자산에 비해 얼마나 비싼가?”를 나타내죠.
PBR이 1배 미만이면 저평가, 1배 초과면 고평가로 볼 수 있습니다. PBR은 기업의 안정성을 평가하는 데 유용합니다.
ROE: 자기자본 효율성
ROE(자기자본이익률)는 기업이 자기 자본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사용해서 이익을 내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. ROE가 높을수록 돈을 잘 버는 기업으로, 투자자에게 매력적입니다. ROE는 기업의 수익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입니다.
EPS & BPS: 주당 가치
EPS(주당순이익)는 주식 한 주당 얼마의 이익을 내는지, BPS(주당순자산가치)는 주식 한 주당 얼마의 순자산을 가지고 있는지를 나타냅니다. EPS와 BPS가 높을수록 기업의 재무 상태가 좋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. 이 두 지표는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.
마무리
주식 초보 투자자를 위한 7가지 핵심 용어를 알아봤습니다. 이 용어들을 이해하는 것은 성공적인 투자의 기반이 될 것입니다. 투자는 항상 신중해야 하며, 다양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.